Surprise Me!

[뉴스초점] 배달앱 주문액 2년만에 2배 상승…'배달 공화국' 명과 암

2023-02-19 5 Dailymotion

[뉴스초점] 배달앱 주문액 2년만에 2배 상승…'배달 공화국' 명과 암<br /><br /><br />불황 속에서도 급성장해왔던 배달산업이 전환점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수수료 인상과 늘어난 영업비용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배달산업이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, 권혁중 경제평론가.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이제 배달은 일상이 됐습니다. 끼니 때마다 배달앱을 찾다 보면 한 끼 만원을 훌쩍 넘는 가격에 지갑 사정이 금세 얇아지는데요. 그렇다고 음식점에 돌아가는 수익도 크지 않습니다. 배달앱 수수료 비율이 어느 정도나 되나요?<br /><br />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배달시장이 더욱 커졌죠. 그런데 식자재 가격 급등과 최저임금의 인상으로 배달비가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. 배달 주문 금액 규모가 2년 만에 100% 가까이 올랐다고요?<br /><br /> 단건 배달이 도입되면서 배달비 인플레이션이 심화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 실제로 정부 실태 조사에서도 소비자 66%가 단건 배달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배달비 인상 요인에 소비자 선호도 영향을 끼쳤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배달 일을 하면 월 400만 원은 챙길 수 있다는 말에, 배달업에 뛰어든 종사자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. 하지만 아직도 배달 일손은 부족한 실정이라 배달업체들은 라이더 확보에 안간힘인데요. 배달비가 더 높아질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지자체 곳곳에서 배달 수수료 부담을 덜겠다며 공공배달앱을 만들고 있죠.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에게 이용 불편 등을 이유로 외면받고 있어서 혈세만 낭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세금을 계속 쏟아부을 수도 없는 노릇인데요. 어떤 식의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최근 배달비 관련해서 이런 논란도 있었습니다. 한 매장에서 배달 기사를 위한 커피 메뉴를 천원에 내놓으면서 갑론을박이 이어졌는데요. "배달 최소비용 금액 맞추기 좋다", "아니다,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한다"라고도 하는데요. 두 분께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배달비와 중개 수수료가 오르면 소비자와 자영업자의 부담은 한층 더 커집니다. 코로나 호황이 끝나고 배달시장이 재편될 것이다, 경쟁력 있는 업체가 사라질 거란 얘기도 나오는데요. 소비자에 도움 되는 건강한 배달생태계의 조건이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반대로 배달 분야를 음식에서, 다른 분야로 확장하겠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. 배달앱 업계가 편의점 상비약 배달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는데요. 약사회에서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의약품 접근성과 약품 오남용 문제가 부딪치고 있는데요. 앞으로의 배달 업계의 전망, 어떻게 보고 계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#배달산업 #배달앱 #수수료 #최저임금 #자영업자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